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를 올바르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불멸기원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불며기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불멸기원(佛滅紀元)은 석가모니가 입적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 연대 표기법이다. 줄여서 불기(佛紀)라고 말한다. 서기(西紀)에 544년, 일부 국가(예를 들면 태국)에서는 543년을 더하면 불기의 연도가 된다.
멸(滅)은 적멸(寂滅, 산스크리트어: vyupaśama, 팔리어: vūpasama)의 줄임말로, 열반(涅槃)을 뜻한다.[1] 또는 열반의 원어인 산스크리트어 니르바나(nirvāṇa) 또는 팔리어 니빠나(nibbāna)의 의역어들 중 하나이다.[2] 예를 들어, 생사윤회의 원인인 번뇌를 벗어나 적정(寂靜)의 무위의 상태 즉 열반에 들어가는 것을 입멸(入滅)이라고 한다. 특히 석가모니의 최후의 입멸, 즉 육신의 죽음과 함께 반열반(般涅槃)으로 들어간 것 즉 불생불멸의 법신(法身)의 상태로 들어간 것을 불멸(佛滅)이라고 한다.[3][4]
불멸기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불멸기원(佛滅紀元)은 석가모니가 입적한 해를 기준으로 삼는 연대 표기법이다. 줄여서 불기(佛紀)라고 말한다. 서기(西紀)에 544년, 일부 국가(예를 들면 태국)
ko.wikipedia.org
출처 - 위키백과 -
결과론적으로 지금 년도에서 543년을 더하면 태국 연도를 알 수 있다.
문제가 요구하는 것은 불기 연도가 주어질 때 이를 서기 연도로 바꿔 주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결국 입력값에 대해서 543을 뺀 값을 출력해주면 된다.
year = int(input())
print(year - 543 )
다음은 정답 비율을 보고 왜 이런 비율이 나왔는지 그리고 한번 다른 사람들의 오답 풀이를 보고 분석해보겠습니다.
정답 비율은 약 63%입니다.
아래는 다른사람들의 오답 풀이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2가지가 틀렸습니다. 불기 연도와 서기 연도의 차이가 543이지만 544를 빼주어 올바르지 않은 기대값을 출력했습니다. 또한 입력받는 input() 은 default 로 str 형으로 return 해주기 때문에 int() 감싸지 않으면 올바르지 않은 자료형들끼리의 덧셈이기 때문에 type error가 발생할 것 입니다.
'BaekJoon Reiv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10430번 | 연산자 운선수위 | (0) | 2025.02.02 |
---|---|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10430번 (0) | 2025.02.02 |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10926번 (1) | 2025.02.01 |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10869번 (0) | 2025.02.01 |
단계별로 풀어보기_백준 10998번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