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성적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 그대로 학점 계산기라고 생각하시면 편할 거 같습니다.
이런 학점 계산기는 조건문을 접할 때 toy example로 불리는 유형의 문제입니다.
입력 조건은 0보다 크거나 같고 100보다 작거나 같은 시험 점수가 들어오고 그 점수를 조건에 맞게 학점을 출력해주면 됩니다.
저의 결과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score = int(input())
if 90 <= score <= 100:
grade = 'A'
elif 80 <= score <= 89:
grade = 'B'
elif 70 <= score <= 79:
grade = 'C'
elif 60 <= score <= 69:
grade = 'D'
else:
#elif 를 사용하여 확실한 조건을 사용하게 된다면 59점보다 작거나 같은 점수들을 처리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elif 를 사용하여 예외처리에 익숙해지는게 좋다고 생각하지만, 현재 문제를 풀 때에는 무방하니 이를 생각만 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grade = 'F'
print(grade)
elif 와 else 가독성처리를 생각하시고 코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정답 비율을 분석해보고 다른 사람들의 풀이를 한번 확인해 보겠습니다.
정답 비율이 약 55%로 높진 않은 정답 비율입니다.
아래는 다른 사람의 공개 처리 된 오답 코드입니다.
단순하게 조건문의 범위를 잘못 설정하여 오답 처리된 코드입니다.
이외에 다른 코드들은 대부분이 출력 형식을 지키지 않고 다른 string 을 붙여 오답 처리 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BaekJoon Reiv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14681번 (0) | 2025.02.05 |
---|---|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2753번 (0) | 2025.02.05 |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1330번 (1) | 2025.02.03 |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10172번 (0) | 2025.02.03 |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10171번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