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 -4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전 문제와 매우 비슷한 문제입니다. 하지만 다른 점은 종료조건이 다릅니다.
이전 문제의 코드 알고리즘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https://edu-data.tistory.com/66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10952번
A+B -5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두 정수 A와 B를 입력 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면 됩니다.하지만 반복의 횟수는 언급되어 있지 않고 입력의 마지막에는 0 두 개가 들어온
edu-data.tistory.com
입력의 수는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처럼 자유롭게 입력의 개수가 제한 되어 있지 않은 문제들은 예외처리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외처리란?(try - except)
try-except 구문은 파이썬에서 예외(Exception)를 처리하는 구조입니다.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드를 try 블록에 두고, 오류가 발생했을 때 실행할 코드를 except 블록에 작성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갑자기 중단되지 않고 원하는 방식으로 예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시
try:
실행할_코드
except 예외_종류:
예외가_발생했을_때_실행할_코드
이를 적용하여 아무것도 입력이 되지 않았을 때를 except에 걸어주시면 됩니다.
while True:
try:
A,B = map(int,input().split())
print(A+B)
except:
break
위는 제가 직접 작성한 정답 코드입니다.
저의 코드의 포인트는 A,B를 입력을 하지 않을 때 오류를 발생시키고 break로 탈출 하는 것 입니다.
실제로 try-except 구문을 작성하지 않으면 ValueError 를 발생시킵니다.
하지만 try-except 구문을 작성한다면 이런 에러 발생 없이 단순하게 코드가 종료됩니다.
1,1을 입력하고 2,2를 입력한 뒤 공백을 입력해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코드가 종료됩니다.
'BaekJoon Reiv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10871번 (0) | 2025.03.18 |
---|---|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10807번 (0) | 2025.03.17 |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10952번 (0) | 2025.03.17 |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2439번 (2) | 2025.02.18 |
단계별로 풀어보기 백준_2438번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