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란...?
리눅스는 오픈 소스 운영 체제입니다. 1991년에 리누스 토르발스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고, 이후 전 세계의 개발자들에 의해 개선되고 확장되었습니다. 리눅스는 주로 서버, 데스크톱, 모바일 장치 등 다양한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리눅스를 알아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터미널 제어와 관련이 깊습니다. 리눅스는 명령어 기반의 터미널 환경을 많이 사용하며, 이 터미널을 통해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리눅스를 배우는 이유는 터미널 제어만이 아닙니다. 몇 가지 중요한 이유를 살펴볼겠습니다:
- 터미널 제어: 리눅스는 터미널(혹은 쉘)을 통해 많은 작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을 보다 정밀하게 관리하고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일 및 디렉토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네트워크 설정 등 다양한 작업을 터미널 명령어를 사용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는 터미널을 통해 시스템의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 서버 운영 및 관리: 리눅스는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등 다양한 서버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서버 관리자는 리눅스 터미널을 통해 서버의 성능 모니터링, 로그 관리, 패키지 설치 등 다양한 관리 작업을 수행합니다.
- 개발 환경: 많은 개발 툴과 서버 환경이 리눅스를 기준으로 운영됩니다. 리눅스를 배우면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 라이브러리, 도구를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발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터미널에서 직접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 보안: 리눅스는 보안에 강한 운영 체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안 설정, 사용자 권한 관리, 방화벽 설정 등을 터미널을 통해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보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환경에서는 리눅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리눅스는 터미널에서 제어됩니다.
간단한 리눅스 제어 코드를 실습해보겠습니다.
HongKildong@hkd-virtualbox:~$
사용자 이름 호스트 이름
$ echol Hello
shell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sh를 바탕으로 기능이 추가된 bash를 사용합니다.
리눅스에서는 모든 것을 파일로 다룹니다. 사용자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조차 즉 하드웨어 조차도 파일로 다룹니다. 더욱 자세한 예로선는 하드 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같은 입출력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전부 파일로 다룹니다. 심지어 이를 제어하는 리눅스 커널 자체도 파일이고 시스템 설정도 파일에 기록됩니다.
$ ls / : 루트에 있는 모든 디랙토리와 파일을 확인합니다. 현재 어떠한 경로에 있어도 루트에 있는 모든 디랙토리와 파일을 확인합니다.
현재 루트노드가 아닌 DLP 디랙토리에 있어도 루트에 있는 모든 디랙토리와 파일을 확인합니다.
$ ls -l / 명령어는 루트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폴더를 상세한 정보와 함께 출력합니다.
$ ls -l /usr 명령어는 /usr 디렉토리 내부의 파일과 폴더를 상세한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명령입니다.
위와 같은 명령어는 또 다른 방식으로 미리 경로를 설정 후 ls -l 을 출력해도 됩니다.
$ cd /usr ; ls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wild card..? (0) | 2025.03.18 |
---|---|
Linux | handling directory (0) | 2025.03.18 |